일상's/에세이

남들보다 조금 먼저,능동적으로 걷는 한 걸음적극성

Best정보통 2021. 3. 13. 13:27
728x90

성공한 이들의 공통점을 꼽자면 바로 ‘적극성’일 것이다. 적극성은 타고난 성격과는 별개로, 내·외향성과는 크게 관련이 없다. 아무리 내향적인 사람일지라도 본인이 열정이 있는 분야에서는 적극성을 나타내기 마련이다. 특히 기업이나 조직에서는 실패에도 부딪혀보고 한계에 도전해보기도 하는 ‘적극적인 인재’가 반드시 필요하다. 현재 각자 속한 조직에서 얼마큼의 적극성을 발휘하고 있을까? 에코프로인들의 숨은 적극성 지수를 조사했다.

 

 

 

 

삶의 만족도를 UP 시키는 긍정 에너지, 적극성 조직에서 적극성은 필수 덕목이다. 어떤 직무에서든 개인이 맡은 업무가 있고, 이를 좋은 성과로 연결시키기 위해서는 반드시 적극 적인 태도가 수반되어야 한다. ‘적극성’에 대해 묻는 설문조사에서 응답자의 약 80%가 ‘적극성이 있다’는 항목에 체크했다. 이는 각 개인의 적극성을 발휘할 수 있는 조직임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그렇다면 우리가 많은 시간을 보내는 조직 내에서는 어떨 때 적극성 이 발휘될까? 1위를 차지한 항목은 ‘흥미로운 업무를 맡게 되었을 때(39%)’였으며, 2위는 ‘업무 진행 과정에서 관심과 응원을 받을 때(26.9%)’, 3위는 ‘업무에 따른 보상이 만족스러울 것으로 예상될 때(18.7%)’가 순위를 이었다. 이 항목의 공통점은 본인이 맡은 업무 에 대한 긍정적인 반응이 동반되거나, 예상될 때라는 것이다. 하지 만 이 반대의 경우에서도 적극성은 발휘된다. 4위를 차지한 ‘원하 는 결과가 제대로 나오지 않을 때(9.9%)’와 5위 ‘주위에서 높은 성 과를 기대할 때(1.6%)’와 같은 부정적이고 부담스러운 상황에서도 적극성이 발현될 수 있다. 이는 자신의 역할에 최선을 다하기 위한책임감에서 비롯된 것임으로 때론 적절한 부담감도 적극성을 높 이는 데 도움이 된다. ‘아침(오전)일수록 적극성이 발휘된다’는 의견과 ‘팀원이 업무 문제로 고민할 때 적극적인 자세로 함께 문제를 풀어나가게 된다’와 같은 사례를 보며, 간접적으로나마 에코프로인들이 적극 성이 발휘되는 구체적인 경험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아무리 뛰어난 적극성을 가졌다 해도 실천하기 어려워질 때가 있다.

 

 

 

Q3 ‘평소 나의 적극성을 방해하는 요소가 있다면?’ 질 문에서 가장 많은 표를 받은 항목은 ‘딱딱한 조직문화’(35.5%)였 다. 2위를 차지한 ‘타인의 기준과 평가(31.1%)’와 3위를 차지한 ‘실 패에 대한 두려움(13.7%)’ 또한 조직문화와 관련된 것으로, 적극성을 방해하는 가장 큰 요소는 개인의 적극성을 받 아들여 주지 않고 실수에 냉담하게 대처하는 조직문화인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생활에서 적극성은 필수이지만, 그러기 위해선 개인 의 적극성을 받아들일 수 있는 유연한 조직문화도 필수다. 조금 더 수평적인 조직문화로 발전한다면 직원들의 숨어있는 적극성을 효 과적으로 끌어낼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적극성을 위해 어떤 노력을 하는지 알 아보았다. 응답자의 43%가 넘는 인원이 ‘업무와 관련된 공부 및 전문 지식 쌓기’에 체크했다. 걸음의 속도와는 상관없이 목표를 향해 달려 가다 보면 정상에 도달하듯, 자신만의 속도대 로 새로운 배움의 길을 향해 전진하는 중이다. 만약 본인의 적극성이 떨어진다고 생각한다면, 대다수의 응답자가 답해준 것처럼 업무와 관련된 전문지식을 쌓거나, 본인이 좋아하는 취미거리를 찾아 시간 을 투자해보길 권한다. 아는 만큼 보이고, 아는 만큼 즐길 수 있다는 말처럼, 때론 배움을 통해 삶을 더 적극적으로 살아갈 수 있는 에너 지를 얻을 수도 있는 법이다

 

 

 

 

지식과 사고

삼성그룹 이건희 회장이 별세하고 그가 1997년에 쓴 에세이집 ‘생각 좀 하며 세상을 보자’가 큰 인기를 얻고 있다고 합니다. 생각과 연관 된 단어를 브랜드 메시지에 사용하는 글로벌기업으로

lupang92.tistory.com

 

 

 

잊혀 지지 않는순간을떠올리며 -카네기 인간관계

사람은 누구든지 살다 보면 기쁠 때, 노여울 때, 슬플 때, 즐거울 때가 있습니다. 개인 별로 정도의 차이는 있겠지만 누구나 희로애락(喜怒 哀樂)을 겪으며 살기 마련입니다. 그리고 그 중에서도

lupang92.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