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뉴욕증시에서 주요 지수는 하락세로 마감했는데 미국 국채금리 동향을 주시하는 가운데 변동성 장세가 이어지는 양상입니다.
2일(미국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43.99포인트(0.46%) 하락한 31,391.52에 거래를 마쳤고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장보다 31.53포인트(0.81%) 내린 3,870.29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230.04포인트(1.69%) 떨어진 13,358.79에 장을 마감했습니다.
시장은 미 금리 동향과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주요 인사의 발언,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관련 소식 등을 주시했습니다.
미 국채 10년물은 이번 주에 1.4% 초·중반대에서 등락을 이어가고 있는데 지난주 1.6%도 넘었던 것에 비해 다소 안정됐지만, 시장의 경계심은 유지되는 상황입니다.

주요 주가지수도 전일 급등했지만, 이날은 장중 상당한 변동성을 보인 끝에 하락 마감했는데 금리가 다시 빠르게 오를 수 있고, 이 경우 고평가 기술주를 중심으로 주가가 불안할 수 있다는 우려가 여전해 보입니다.
투자자들은 연준이 금리 상승에 대응할 것인지 주시하고 있는데 미 경제방송 CNBC는 연준이 이르면 3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오퍼레이션 트위스트' 등의 조치를 할 것으로 시장 참가자들이 예상한다는 보도를 내놓기도 했는데 오퍼레이션 트위스트는 단기물 채권을 팔고 장기물을 사서 장기 금리 상승을 억제하는 정책입니다.
라엘 브레이너드 연준 이사는 "지난주 국채시장의 매도 규모와 속도는 눈길을 끌었다"며 "시장 전개에 대해 면밀하게 주의를 기울이고 있다"고 말했는데 연준 인사들이 금리 상승은 경제 전망 개선에 따른 자연스러운 현상이라며, 이를 용인하는 듯한 평가를 반복했던 것과는 다소 결이 다른 발언입니다.
브레이너드 이사는 하지만 무질서한 흐름이나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는 금융시장의 긴축을 보게 된다면 걱정하겠지만, 금융시장의 여건은 여전히 완화적이라고도 진단했습니다.
유럽중앙은행(ECB)에서 연일 금리 상승에 대응해야 한다는 강경한 주장이 나오는 것과는 대비되는데 파비오 파네타 ECB 이사는 이날 "우리가 목격하고 있는 수익률 곡선의 스티프닝(장·단기 금리 격차 확대)은 반갑지 않으며, 반드시 저지돼야 한다"고 직설적으로 주장했습니다.
투자자들의 이목은 오는 4일 월스트리트저널 주최 행사에서 강연할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의 입에 쏠려 있습니다

코로나19 백신과 관련해서는 긍정적인 소식이 이어졌는데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국방물자생산법을 발동해 제약사 머크(Merck)도 존슨앤드존슨(J&J)이 개발한 백신을 생산하도록 해 백신 보급 속도를 더욱 올릴 수 있는 조치를 취했습니다.
미국의 1조9천억 달러 부양책도 예정대로 진행 중인데 논란이 되는 최저임금 인상안을 제외키로 한 가운데, 상원에서 다음날부터 법안 표결을 위한 절차가 시작될 예정이고 또 일부 민주당 상원의원은 바이든 대통령이 이후 추진할 인프라 투자 법안에 미국인에 대한 추가 현금 지급 등의 방안을 포함해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
이날 업종별로는 전일 급등한 기술주가 1.63% 내리며 부진했고 산업주는 0.27% 내렸지만, 재료 분야는 0.58% 상승했습니다.
이날 발표된 경제지표는 다소 부진했는데 공급관리협회(ISM)-뉴욕에 따르면 지난 2월 뉴욕시 비즈니스 여건 지수는 전월 51.2에서 35.5로, 15.7포인트 급락했는데 지난해 5월 이후 최저치입니다.
뉴욕증시 전문가들은 채권 금리 동향을 주시하는 불안정한 장세가 이어질 수 있다고 진단했습니다.
바이탈 날리지의 아담 크리사풀리 창립자는 "미 국채 10년물 금리가 아직 투자자들이 주식을 팔아치우게 할 수준은 아니다"면서도 "하지만 최근 상승은 주가수익비율(PE) 확장은 종료시켰다"고 말했습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FF 금리선물 시장은 9월 25bp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을 4.1% 반영했습니다.
시카고옵션거래소(CBOE)에서 변동성지수(VIX)는 전 거래일보다 3.21% 상승한 24.10을 기록했습니다.
미국 시장이 롤러코스터를 탄 것처럼 급등과 급락을 반복하고 방향성을 못 잡고 헤메고 있는데 시장참여자들은 인플레이션을 우려하고 있지만 정책 당국자들은 달러를 쏟아 부으며 아직은 유동성 장세를 즐기라 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누군가는 하기 싫어도 고양이 목에 방울을 달듯이 시장 과잉 유동성이 만든 버블을 끄려고 나서야 할 겁니다
언제가 될지 모르지만 그렇게 먼 것 같지는 않습니다
반응형
'Daily 부동산 > Daily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얀마 군부쿠데타 세력 무차별 총격 학살 유혈사태 확산 민간인 사망자 속출 (0) | 2021.03.05 |
---|---|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반도체 D램 가격 50% 급등 반도체 슈퍼사이클 (0) | 2021.03.03 |
쿠팡 관련주 뉴용증권거래소 3월 11일 상장 (0) | 2021.03.03 |
정부 4차 재난지원금 포함 추가경정예산안 발표 (0) | 2021.03.01 |
트럼프보다 독한 바이든, 반도체·배터리·희토류 ‘동맹' 만든다 (0) | 2021.0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