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렌드 코리아> 시리즈는 매년 대한민국 사회의 신(新) 트렌드를 조명하며 현재를 진단하는 스테디셀러다.
기술이 빠르게 성장하며 유행도 덩달아 민감하게 변화하고 있는 가운데, 새로운 시대의 변화에 발맞춰 나가고자
하는 필수 덕목도 역시‘트렌드 캐치’다. <2021 트렌드 코리아>를 통해 올해의 비즈니스 트렌드 키워드
는 무엇인지 살펴보자.

더 실험적인 변화를 모색하다 ‘피보팅’
농구용어인 피봇(pivot)은 공을 잡고 있는 선수가 위기상황에서 한 발을 축으로 삼아 다른 발을 이리저리 옮겨가며 기회를 모색하는 플레이다. 피보팅(pivoting) 역시 위기에 처한 비즈니스 환경에서 극적인 힘을 발휘하는데, 특히 요즘처럼 코로나19로 인해 소비시장이 급격히 변화할 때 회사가 기민하게 기존의 비즈니스 모델을수정하면서 위기를 타개할 수 있게 만든다. 피보팅은 과거엔 스타트업에게 필수적인 덕목으로 꼽혀왔다. 회사의 규모가 작을수록 외부 상황에 따라 사업의 존폐가 결정되기 때문에 그만큼 발 빠른 전략 수정이 필요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최근처럼 환경의 변동성과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에선 대기업에게도 필요한 덕목이 됐다. ‘축’이 되는 자원 및 사업을 중심으로 피보팅 전략도 다양한데, 그 중 4가지를 예로 들 수 있다.
1 그 동안의 기술, 운영 노하우를 중심으로 사업을 전환하는 ‘핵심역량 피보팅’(EX – 넷플릭스: 비디오 대여->온라인 스
트리밍)
2 시 설 설비·공간·건물을 중심으로 사업을 전환하는 ‘하드웨어 피보팅’(EX-대한항공: 여객 사업->물류 수송)
3 익 숙한 소비자 집단을 중심으로 그들의 니즈에 맞게 사업을 전환하는 ‘타깃 피보팅’(EX-카카오: 메신저->은행 어플)
4 새 로운 품목을 기획하고 판매 경로를 변경하는 ‘세일즈 피보팅’(EX-식당: 음식 판매 -> 밀키트 판매) 등이 있다.

언택트 환경에서 잊지 말아야할 감성 ‘휴먼터치’
코로나19 사태로 가장 주목받는 것이 바로‘언택트(Untact)’다. 하지만 이 언택트 기술이 보편화되면서 ‘관계의 단절’이 새로운 문제점으로 지목되고 있는데, 이를 대체하기 위해 새롭게 등장한 키워드가 바로 ‘휴먼터치(Human Touch)’다. 장시간 이어지는 온라인 접속 상태는 인간의 연결 강박을 강화시키며 오히려 더 큰 외로움을 느끼게 만든다. 최근 이슈로 떠오른 디지털 패러독스, 코로나 블루도 이 같은 상황이 만든 ‘외로움’과 ‘우울감’이다.따라서 휴먼터치의 지향점은 단순히 온-오프라인에 상품을 게재하는 것이 아니라, 소비자가 구매결정을 내리는 중요한 순간에 ‘진정한 공감대’를 이끌어 내며 관계의 온기로 구매를 자극하는 것이다. 휴먼터치를 구현해나가기 위해서는 네 가지가 중요하다.
1 고 객 중심의 공간과 동선 꾸미기
2 인 간적 소통의 강화
3 기 술에 사람의 숨결 불어넣기
4 내 부 조직 구성원들의 마음 챙김

소유에 대한 인식 변화가 만든 ‘N차 신상’
과거 ‘아나바다 운동’으로 불렸던 중고 거래가 이젠 ‘N차 신상’으로 변화했다. N차(여러차례) 활용된 물품이 ‘신상(품)’과 다름없이 받아들여진다는 게 다소 아이러니하지만, 물품에 대한 인식이 ‘소유해야만 하는 것’에서 ‘필요할 때 공유해도 되는 것’으로 변화하면서 생긴 트렌드다. N차 신상의 판이 커지게된 원인으로는 구매할 때 처분까지 생각하는 필환경 시대의 도래, 공유에 너그럽고 싫증을 빨리 내는 MZ세대의 등장, 코로나19로 인한 짠테크와 집콕소비 증가, 쉽고 안전한 거래 플랫폼의 발달 등을 들 수 있다. 더불어 N차 신상은 새로운 재테크 수단으로도 주목받고 있다. 안 쓰는 물건을 팔아 현금화하거나 재능을 거래해서 용돈을 버는 식인데, 특히 명품이나 한정판 운동화에 프리미엄을 붙여 파는 ‘리셀’이 대표적이다. 즉 중고거래가 단지 ‘안쓰는 물건을 나눈다’는 의미에 그치는 게 아니라 ‘시장’으로써의 기능도 갖추고 있다는 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기업들에게는 중고마켓에 열광하는 소비자의 감성을 끌어안는, 보다 유연한 시도가 필요할 전망이다.

나를 돌아보며 진정한 ‘나’를 찾다! ‘레이블링 게임’
‘나는 누구인가?’라는 것은 고대 그리스 시대 철학자들부터 지금 현대인들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사람들이 고민해 온 물음이다. 최근 ‘초개인화’ 시대에 접어들면서 ‘자기정체성’을 찾고자 하는 사람들을 중심으로 레이블링 게(Labeling Game)이 새로운 트렌드로 떠올랐다. 이는 자신에게 스스로를 규정하는 이름표를 붙인다는 의미로, ‘자기정체성을 특정 유형으로 딱지(레이블)를 붙인 뒤, 해당 유형이 갖는 라이프스타일을 동조· 추종함으로써 정체성의 불확실성을 해소하려는 게임화된 노력’을 말한다. 이는 현실의 자아를 확인해줄 뿐 아니라 타인과 공유하고 비교하면서 ‘놀이’로 진화하는데, MBTI·
꼰대레벨·학과 테스트 등 자기성향 유형화 테스트의 형태로 나타난다.이 유형화는 단지 놀이문화에 그치는 게 아니라 ‘소비’로 확장되는데, 과거에는 자신을 표현하기 위해 자기정체성에 맞는 브랜드를 선택했다면, 이제는 “이런 브랜드를 구매하는 걸 보니 나는 이런 사람”이라는 의미를 갖게된 것이다. 이제 브랜드는 브랜드 정체성과 고객의 자기특성이 정확히 들어맞는다는 느낌을 주어야만 하는 시대가 됐다. 브랜드의 미래는 타깃을 명확히 설정하고, 그 타깃과 얼마나 닮아있느냐에 따라 달려있는 셈이다.
'일상'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전 둔산동 면접 메이크업 최윤화메이크업 (1) | 2021.03.20 |
---|---|
원흥역 공유오피스 1번 출구 1분 거리 최적의 상권, 사무실 제공 (0) | 2021.03.17 |
넷플릭스,왓챠,웨이브 슬기롭게 즐기는 OTT 콘텐츠 추천 (0) | 2021.03.15 |
쉽게 지울수 없는 타투! 최고의 만족도 포천타투! (0) | 2021.03.11 |